728x90
반응형

2025년 상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비사무직 12h)


1. 연구활동종사자의 보호를 위해 준수해야 할 연구실 기본 안전수칙으로 거리가 먼 것은?(객관식)

모든 연구활동종사자는 실험을 하는 동안 발끝을 덮는 신발을 착용하여야 한다.
작업조건에 따라 긴 머리는 묶지 않아도 된다.   
실험복을 실험하는 동안 착용하여야 한다.
모든 실험실은 지정된 장소에서 안면보호구의 착용이 요구될 경우 보안경은 항시 착용하여야 한다.

2. 보호장갑 재질에 따른 보호장갑의 활용에 대한 연결이 거리가 먼 것은?(객관식)

부틸 고무 : 휘발성이 큰 에스터류와 케톤류를 다룰 때 적합
고무장갑 : 방향족 및 화학실험 시 적합   
나이트릴 : 용매, 오일류, 일부 산과 염기류에 적합
PVC : 지방류, 산류, 석유계 탄화수소에 적합

3. 방사선 발생원(레이저, 자외선 방사선 물질 또는 아크 램프 등)은 연구실책임자의 지시와 감독하에 사용하여야 한다.(OX문항)

O   
X

4. 연구실 안전법 필요성에 대한 내용 중 거리가 먼 것은?(객관식)

과학기술 분양의 지속적 개발과 활용
일반 산업현장과 상이한 위험에 노출
산업재해로 불인정
충분한 보상만을 위함   

5.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객관식)

도미노의 골패 중 한 개를 빼면 사고까지 연결되지 않는다.
간접원인 : 개인적 결함
직접원인 : 불안전한 상태 및 행동
사고는 예방이 불가능하다.   

6.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은 2005년 3월에 최초 제정되었다.(OX문항)

O   
X

7. 전통적인 안전관리 체계에서는 안전시설의 투자와 관리감독 강화가 아닌 인간행동과 심리에 기반한 안전의식의 변화를 통한 능동적이고 사전적인 예방 활동이 요구된다.(OX문항)

O
X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