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주식투자 앱에서 내 계좌를 확인하면, 예수금 뿐만 아니라 증거금이라는 용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예수금증거금이란 무엇일까.

 

우선 예수금이란, 거래와 관련하여 임시로 보관하는 자금을 의미한다.

회사가 고객으로부터 임시로 수령한 자금으로, 쉽게 말해서 통장에 돈을 넣어놓으면 그 계좌에 들어있는 잔고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그리고 증거금이란, 

 

1) 주식거래 : 주식거래에 있어서 투자자는 보유금액보다 2.5~2.8배 많은 금액의 주문이 가능하다. 이를 증거금 제도라고 부른다. 반면, 100% 증거금률인 경우엔 리스크가 높은 종목에 적용되며 보유금액 이상으로 살 수 없다.

[네이버 지식백과] 증거금 [margin] (한경 경제용어사전)

 

보유하고 있는 금액보다 2.5배 가량 더 많은 금액의 주문이 가능하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우선 2개 회사부터 알아보자.

찾아볼 것은 앞으로의 발전가능성을 위해서 최신뉴스, 차트, 그리고 매출이다.


1) 동성제약

 

1-1.

1957년 설립된 의약품/화장품 사업체다. 대표적인 의약품으로는 정로환, 세븐에이트, 동성랑스, 이지엔 등이 있고, 최근에는 염색약(이지엔)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 대만,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수출 계약을 맺고 있고, 일본을 비롯한 동남아 국가들에서 염색약이 좋은 반응을 얻었다는 평이 있다.

 

PDT(광역학치료)의 췌장암 임상 허가 신청을 한 상태이고 6월경에 췌장암 임상 실험이 시작된다고 한다.

 

 


1-2. 차트

 

3월 10일 2023 기준 동성제약 차트

 

올해 2분기부터는 긍정적인 흑자전환을 기대해볼 수 있다고 하니, 주식의 반등이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된다. (극히 주관적)

 


1-3. 뉴스

 

3월 10일 2023 동성제약 뉴스

 

동성제약 재무제표 링크

https://digital.mk.co.kr/yearbook/stock_company.php?TM=STOCK&MM=S2&CC=002210 

 

기업정보

동성제약 주식회사 대차대조표 [연간] (단위: 백만원) 대차대조표 항목 2021. 12. 31 2020. 12. 31 2019. 12. 31 유동자산 49,986 71,507 79,398 당좌자산 34,467 51,226 56,114 현금및현금성자산 3,140 14,352 4,278 단기금

digital.mk.co.kr


1-4. 결론

 

팔지 말고 좀만 기다려보자. 추가 매수는 잘 모르겠다.

 


2) 모나미

 

2-1. 

국내 문구 제품의 대표주자로 꼽히는 모나미. 노재팬(NO Japan)운동을 할 때 일본 문구류를 사용하지 않을때 잠깐 매출이 크게 올랐던 적이 있으나, 노재팬운동이 좀 잠잠해지면서 지금은 원래 상태로 돌아간 모양이다.


2-2. 차트

 

3월 10일 2023 기준 모나미 차트

 

2-3. 뉴스

 

3월 10일 2023 모나미 뉴스

 

모나미 재무제표 링크

https://digital.mk.co.kr/yearbook/stock_company.php?TM=STOCK&MM=S2&CC=005360 ]

 

기업정보

주식회사 모나미 대차대조표 [연간] (단위: 백만원) 대차대조표 항목 2021. 12. 31 2020. 12. 31 2019. 12. 31 유동자산 60,410 27,216 30,350 당좌자산 46,509 14,741 18,850 현금및현금성자산 4,324 1,161 946 단기금융상

digital.mk.co.kr

 

 

2-4. 결론

 

도저히 반등할 기색이 안보이니, 놓아주는 것이 좋을 것 같다...라고 생각했다가, 주당 70원 현금배당이 있었다는 것을 보고 좀 기다려도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현금배당에 대해서 공부해보자.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여기에 오늘부터 하나씩, 공부해나가는 내용들을 검색해서 작성을 해보자.

 

주식으로 그냥 감으로만 막 사고 팔고 하다보면 무조건 실패하게 되어있다.

 

지금 보유하고 있는 것들도 뭐하는 회사인지 모른채 구매한 것들이 꽤 된다.

 

공부하는 개미가 되어서 소액이라도 승리하는 개미가 되자.

 

하나씩 어떤 회사들인지 공부해보고 보유해도 될지, 하루 빨리 손을 털어야할지 알아가보자


현재 보유종목

 

셀트리온 

하나금융지주 

동성제약 ✔︎

제이엔케이히터 

스페코 

모나미 ✔︎

신성이엔지 

삼부토건 

바른손이엔에이 

KH전자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키보드 고르기 과정 /
https://devzd.tistory.com/69



다양한 키보드를 찾아본 끝에, 한성컴퓨터의 한고무무 제품을 골라서 사게 되었다.

 

[키보드] 개린이의 개발용 키보드 고르기

맥북 프로 2017버전을 사용하고 있다. 이 버전의 키보드는 나비식 키보드를 사용하고 있는데, 나비식 키보드는 애플에서도 인정한 망작이다. 키가 두번씩 눌리는 경험, 특히 F키와 J키가 두번씩

devzd.tistory.com



지금 이 리뷰도 해당 키보드를 사용하여서 작성하고 있다.

다양한 리뷰들도 찾아봤고 유튜브 글들도 다양하게 찾았었는데, 이 키보드를 사면 후회할 일은 잘 없다는 내용을 본 기억이 난다.




평소에 티스토리 블로그 뿐만아니라 네이버 블로그 글도 작성하면서 키보드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키보드를 사야겠다고 느꼈었는데, 새로 사본 키보드는, 일단 만족도는 100%이다. 사흘정도 사용해 본 후기는 이렇다.



한고무무 저소음적축 특징 ::



0. 저소음 적축

우선, 저소음적축에 대하여 이야기를 하고 싶다. 나는 그동안 기계식 키보드라고는 피시방에서 타닥 타닥 거리는 그 키보드밖에 사용해보지 못했다. 물론 아는 형이 키보드에 거의 미쳐있어서 많이 두드려보기는 했지만, 이걸로 막 작업을 오래 해보지는 않았다.

타건감은, 피씨방의 그 키보드들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매우 부드럽고 조용하다.
진짜 뭔가 그 ASMR 을 항상 들으면서 작업을 하는 느낌이다.
맥북의 말도안되는 나비식 키보드로 타이핑을 하다가 여기로 넘어오니까, 완전 신세계다,,, 돈 조금 모아서 진작에 좀 사볼걸.

https://youtu.be/WnrdXKLkm08



1. 유/무선 동시 지원

C-to-C로 연결이 되는 케이블이 하나가 지원이 되고, 또 무선으로 연결이 되기도 한다. 입력에 대한 지연은 전혀 못 느낄정도로 매우 빠른 반응을 보인다.


2. 다양한 LED 지원

사실 대부분의 키보드가 지원하는 내용이긴 하다. 하지만 나에게는 첫번째 키보드이니까 나한테는 지금까지 이게 최고다.


3. 텐키리스

맥북과의 호환성 문제는, 한고무무의 최고의 장점은 아닐 수도 있다. 하지만 텐키리스 키보드는, 개발하려고 키보드를 산 입장에서는 번호 패드는 따로 필요가 없었다. 원래 맥북 키보드에도 번호패드는 따로 없기 때문에, 딱히 불편함은 느끼지 못하겠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맥북 프로 2017버전을 사용하고 있다. 이 버전의 키보드는 나비식 키보드를 사용하고 있는데, 나비식 키보드는 애플에서도 인정한 망작이다. 키가 두번씩 눌리는 경험, 특히 F키와 J키가 두번씩 눌릴 때마다 화딱지가 나서, 거의 홧김에 키보드를 사기로 마음을 먹었다.

 

 

1. 어떤 브랜드를 골라야할까?

 

키보드 브랜드로 유명한 회사들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키크론이나 바밀로, 한성컴퓨터, 해피해킹 등이 그런 브랜드들이다.

그리고 기계식 키보드를 산다고 하면 레바덱이 대표적인 키보드 브랜드들로 꼽힌다. 레오폴드, 위에서 언급한 바밀로, 그리고 덱이다.

이것저것 많이 찾아봤는데,

 

 

2. 청축? 적축? 갈축?

 

키압에 따라서 분류가 되는 스위치를 말한다. 아래 블로그에 잘 설명이 되어있다.

가장 많이 사용이 되는 스위치 세개가 바로 청축, 적축, 갈축이다.

 

- 청축은 주로 PC방에서 많이 사용되는 키보드인데, 정밀한 플레이를 위해서 확실하게 눌려야하기 때문에 키압이 세다. 그리고 소음이 좀 발생하는 편이다.

- 적축은 키압이 좀 낮은 편이다. 그리고 비교하는 세개의 축 가운데 가장 소음이 적다.

- 갈축은 청축보다 키압이 좀 더 낮고, 그 찰칵 찰칵 소리가 사라진 버전이라고 볼 수 있다.

 

https://shyunku.tistory.com/57

 

기계식 키보드 스위치 축 분류 및 정리 (청축, 갈축, 적축, ...)

기계식 키보드는 스위치 축 종류에 따라 청축, 적축, 갈축, 흑축, 백축, 광축, 회축, 녹축 등으로 나뉜다. 또한 크게 3가지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다음과 같다. 클릭 방식: 타건감이 뚜렷하고

shyunku.tistory.com

 

 

3. 소음 / 무소음 / 저소음

 

사실 소음키보드라고 불리는 것은 없다. 그냥 일반적인 타건감을 가진 키보드, 저소음키보드, 그리고 무소음키보드만이 있을 뿐이다.

 

 

4. 가격대

 

첫키보드고 해서, 십만원 정도의 가격대에서 찾아보기로 했다. 돈 많이벌면 더 비싼거 사야지.

 

 

5. 최종 결정 ::

 

그래서 고른 키보드는 '한고무무' 라고 불리는, 한성컴퓨터 TFG ART Wireless V2 텐키리스 키보드이다.

 

 

사용후기는, 곧 배송이 오고나서 다시 글을 작성하는걸로.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얼마전에 50문 50답을 하면서 나온 질문 중에 하나가, '나는 10년 뒤에 무엇을 하고 있을까' 라는 질문이었다. 사실 이 질문은 미국에 있을 때 굉장히 많이 받은 질문 중에 하나였다.

"Where do you see yourself in 5 years, 10 years, or more?"

이 질문에 쉽게 대답하는 사람은 없었다. 나는 개인적으로는, 20살이 되었을 때에 대략적인 인생의 로드맵에 대해서 생각해본 적이 있었다. 몇살때는 무엇을 하고 있지 않을까, 몇살때는 결혼을 해있을 것 같고, 몇살때 어느 회사에 취업을 해있고, 애는 몇살때쯤에 낳겠다 식의, 진지하지 않은 플랜을 세운 기억이 있는데, 당시에 이걸 외국ㅇ인 친구들한테 공유했을 때에는 반응이 극과 극으로 갈렸다. 흥미로워하면서 더 이야기해보라는 식의 반응을 보인 그룹과, '너는 뭐하는 녀석인데 그런 플랜을 벌써 가지고 있냐' 라는 식의 신기해하는 반응을 보인 그룹으로 나뉘었는데, 참 외국인들도 뭐 다 생각하는게 비슷하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었다.


 

아마 요즘에 가장 많이 하는 고민 가운데 하나는, 내가 과연 무엇을 (잘)할 수 있는 사람인가 라는 것이다.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안다는 것은 굉장한 축복이다. 나랑 제일 친한 동기인 쿠라니는 이것저것을 참 많이 시도하는 친구이다. 컴퓨터를 공부하면서 법도 같이 복수전공을 하고 있고, 여러 공모전이나 대회도 참 많이 참여를 해왔다. 지난 겨울에는 학교 근처에 있는 현대 모비스에서 인턴 비슷한 일을 했는데, 그 일을 하면서 자동차랑 관련된 일에 큰 흥미를 느끼고 아예 자동차 산업이랑 관련된 분야를 공부하고 거기서 일을 하고 싶다는 명확한 목표를 가지게 되었다. 이래서 다양한 일을 시도하는 것이 참 중요한 것 같다.


 

친구들 중에는 이미 일을 시작한 사람들도 있다. 직장에 다니는 친구들을 보면, 부럽다. 하지만 불안하지는 않다. 나는 조금, 아주 약간 돌아가는 것 뿐이지, 늦은거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글을 쓰는 지금은 2022년 7월. 10년 뒤면 2032년 7월, 만으로 35살이 된 시점일 것이다. 스무살의 내가 세운 계획에 따르면, 나는 그때 쯤 이미 결혼을 해있어야하고, 자녀가 있어야할텐데...? 뭐 인생이 언제 계획대로 된적이 있기야 하겠냐마는, 그래도 최소한의 계획이 없는 삶은 너무 무미건조하다. 어떤 계획을 세워놓고, 그것과 비슷하게 가려고 노력해야지.

지금 인생에서 상당히 중요한 기로에 서있다. 이번 여름방학은 정말 의미있게 보내고 싶고, 자격증도 준비하고 있다. 2주뒤부터는 학교에서 주관하는 교육도 신청을 해놨다. 이런저런 일들을 하나씩 하다보면, 내가 갈일이 점점 보이게 되지 않을까. 앞으로 무슨일을 하게 될지는 두고 볼일이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