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온열질환의 정의 중 틀린 것은?(객관식)
열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발생하는 질환이다.
두통, 어지러움, 근육경련, 의식저하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 온열질환 중에 열경련만 위험하다.
종류로는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등이 있다.
2. 열사병의 응급조치 방법 중 틀린 것은?(객관식)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긴다.
환자의 옷을 느슨하게 한다.
환자의 몸에 시원한 물을 적셔 부채 등으로 식힌다.
∎ 의식이 없어도 음료를 마시게 한다.
3. 열탈진의 주요 증상과 응급조치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객관식)
땀을 많이 흘리고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두통 등이 나타난다.
∎ 시원한 천을 몸에 대기만 하고 따뜻한 물로 목욕을 한다.
이온 음료가 도움은 될 수 있으나 과당함량이 높은 경우가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증상이 악화되거나 1시간 이상 지속되면 의료기관에 내원해 진료를 받는다.
4. 열사병은 중대재해처벌법 등에 관한 법률 중에 직업성 질병에 속한다.(OX문항)
∎ O
X
5. 열부종으로 부종이 발생한 부위는 심장보다 낮게 둔다.(OX문항)
O
∎ X
6. 다음 중 한파주의보 발령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입니까?(객관식)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0℃ 이상 하강하여 3℃ 이하이고 평년값보다 3℃가 낮을 것으로 예상될 때
아침 최저기온이 -12℃ 이하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 아침 최저기온이 -20℃ 이하가 1일만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급격한 저온현상으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
7. 한파특보가 발령되면 야외 작업자는 작업 중단이나 작업시간 조정 등 추가적인 보호조치를 해야 한다.(OX문항)
∎ O
X
2025년 하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1) 정답 - 화재 및 폭발사고 예방 실무
2025년 하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2) 정답 - 사고의 발생과 비상조치 대응
2025년 하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3) 정답 - 폭염과 한파에 따른 건강장해 예방방법 및 비상조치방법
2025년 하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4) 정답 - 응급처치
2025년 하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5) 정답 -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의 이해
2025년 하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6) 정답 - 직무스트레스의 이해 및 관리
2025년 하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7) 정답 - 감정노동의 이해와 관리방안
2025년 하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8) 정답 - 직업병
2025년 하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9) 정답 - 근골격계 질환 예방
2025년 하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10) 정답 - 직장 내 괴롭힘
2025년 하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11) 정답 - 업무상 질병사례_기타사업
'Thoughts > 산업안전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하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비사무직 12h) 정답 - (5)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의 이해 (0) | 2025.09.05 |
---|---|
2025년 하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비사무직 12h) 정답 - (4) 응급처치 (0) | 2025.09.04 |
2025년 하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비사무직 12h) 정답 - (8) 직업병 (1) | 2025.09.02 |
2025년 하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비사무직 12h) 정답 - (1) 화재 및 폭발사고 예방 실무 (0) | 2025.09.01 |
2025년 상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비사무직 12h) 12. 운반하역작업 안전작업방법 (0) | 2025.04.18 |